top of page

대한민국 섬유패션산업의 순환형 산업구조 전환과 지속가능성에 위기 경보


ESPR, DPP 등 글로벌 룰메이커들의 친환경 대응, 생태기반 초토화 우려도




EU를 비롯 글로벌 룰-메이커를 중심으로 지속가능과 순환형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, 국내 섬유패션산업계는 ‘각자도생’이라는 험난한 여정에 맞닥뜨린 형국이다.

     

4세대 순환형 산업구조로의 전환을 위해 지속가능소재 개발, 청정생산 공정 변화 및 섬유소재의 전주기 대응 등 핵심 현안을 담은 ‘지속가능 섬유산업 생태계 전환 핵심기술 개발’ 사업이 정부 예타사업 문턱을 넘지 못했다.

     

당장 올해 들어 정부 R&D사업의 대폭적인 축소로 말미암아 개별기업 및 지원 기관·단체들의 사업 수주 실적이 최악의 가뭄 상황을 보이면서 R&D사업 근간을 뒤흔들고 있으며, 이에 따른 신소재 및 신제품 개발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.

     

국내 화섬 원사기업들의 연이은 주력 아이템 생산 중단의 여파로 스트림 전방위에 걸친 밸류-체인 붕괴가 현실화되며,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지만 이 또한 시작에 불과하다는 시각이다.

     

당장 산업 내에서 핵심 현안 사업으로 준비했던 예타사업 탈락에 따른 후속대응을 준비한다고는 하지만, 상당부분 산업계 내에서 또는 개별기업들이 능력 및 재량껏 감내해야 할 전망이다.

     

EU 내 유통되는 전 제품 일반에 대해 재활용 가능성, 에너지 효율, 재활용 원료 비중, 탄소발자국 등 지속가능성 기준을 강화한 에코디자인 규정안(ESPR).

     

상품의 생산부터 유통, 소비, 재활용에 이르는 전체 생애주기(라이프사이클)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/정장해 제품에 부착하는 디지털제품여권(DPP).

     

이 두 가지 사업만 두고 보더라도 당장 대응 시기를 놓친다면, 글로벌 친환경 섬유시장에서의 도태는 물론, 국내 섬유패션산업의 생태계 전반을 초토화시키기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.

     

생사의 기로에 선 중소제조기업에게는 먼 미래로 인지될 수도 있지만, 선택이 아닌 의무 이행 사안들로 당장 2~3년 내 시행될 예정인 만큼, 정부와 지자체, 산업 내 기관·단체들의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절실하다.

     

현재, 국내 산업계가 국산 및 수입 원사 관련 FTA 원산지 규정에 대해 두루뭉술한 자세로 각자 알아서 대응하고 있는 모습 또한 제조기반을 뒤흔들 수 있는 만큼,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 후속조치 마련도 더 이상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.

최근 게시물

전체 보기

Comments


bottom of page